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해를 위한 문법11

수능 영어 독해를 위한 문법 3-1. 분사도 두 문장을 연결해준다고?-포항 영어학원, 중학생 영어 내신부터 고등학생 수능 영어까지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1:1 맞춤 지도 ‘분사’라고 하면 딱딱하고 어려운 문법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그 정체는 의외로 간단합니다. 핵심은 딱 하나예요. 분사는 동사를 형용사처럼 바꿔서, 문장 안에서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 그리고 이 과정에서 두 개의 문장을 하나로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기도 하죠.​​예를 들어 이런 문장을 생각해볼게요.I saw ​a dog.It was barking loudly.이 두 문장은 ‘a dog’와 ‘It’이 같은 대상을 가리키고 있어요. 이럴 때 분사를 활용하면 문장을 하나로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I saw a dog (barking loudly). 여기서 ‘barking’은 단순히 ‘짖다’라는 동사가 아니라, 명사인 ‘a dog’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즉, 현재분.. 2025. 4. 16.
수능 영어 문법 공부 이렇게 하고 있다면, 책 당장 덮으세요-포항 영어학원, 중학생 영어 내신부터 고등학생 수능 영어까지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1:1 맞춤 지도 학생들이 문법 공부를 해야지 하고 마음 먹으면, 가장 먼저 하는게 뭔지 아시나요?...................책부터 사고 봅니다. (공감하시나요...?)​​이번엔 문법을 찢어버려야지라는 마음으로.. 그리고 첫 페이지부터 씹어먹을 듯이 한 문장 한 문장 세심하게 봅니다. 이렇게 보면서 끝까지 다 보는 케이스? 100명, 아니 1000명 중에 한 명 있을까 말까 합니다.​​​문법 공부, 다들 어떻게 시작하시나요? 혹시 이런 식으로 하고 있다면 잠깐 멈춰야 할지도 모릅니다.✔ “일단 책부터 사고 본다.”✔ “첫 페이지부터 한 문장 한 문장 다 찢어버릴 듯이 본다.”✔ “자동사/타동사 구분 외운다.”✔ “가정법 공식부터 통째로 암기한다.”✔ “전치사 구문, 숙어 표현을 표로 만들어 외운다.”​​열정은 인정.. 2025. 4. 16.
수능 영어 독해를 위한 문법2-3. 의문사-명사절은 뭐고 간접의문문은?-포항 영어학원, 중학생 영어 내신부터 고등학생 수능 영어까지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1:1맞춤 지도 이번에는 what, where, when, who, why, how 같은 의문사들이 명사절 접속사로 쓰이는 경우를 정리해볼게요. 이 부분은 학생들이 특히 많이 헷갈려하는 부분이라, 구조부터 천천히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보통 이런 의문사들은 질문문에서 자주 보이죠. 예를 들어, "What did he say?"나 "Where is she going?" 같은 문장들이에요. 그런데 이 질문들이 문장 안에 명사절로 들어가면, 더 이상 문장 전체가 의문문 형태가 아니라 평서문 구조로 바뀌게 됩니다.​​예를 들어 ‘그가 뭘 말했는지 모른다’는 영어로 I don’t know what he said.처럼 표현해요. 이 문장에서 ‘what he said’는 명사절로서 문장 전체에서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그 .. 2025. 4. 16.
수능 영어 독해를 위한 문법1-3. 계속적 용법이 잘못된 말이라고?(비한정적 용법과 복합관계사)-포항 영어학원, 중학생 영어 내신부터 고등학생 수능 영어까지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관계사 단원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오늘은 꼭 알아야 할 두 가지 개념을 정리해볼게요. 바로 비한정적 용법(non-restrictive clause)과 복합관계사(compound relative pronouns)입니다. 이 둘은 수능에서는 다소 덜 중요할 수 있으나, 내신 시험에서도 자주 등장하고, 문장의 구조와 해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1. 비한정적 용법 (non-restrictive clause)(흔히 ‘계속적 용법’이라고도 불리지만, 정확한 문법 용어는 비한정적 용법입니다.) 관계대명사를 쓸 때, 앞 명사를 제한해서 설명하는 용법을 한정적 용법(restrictive clause)이라고 합니다. 반면, 추가 정보만을 더하는 경우는 비한정적 용법(non-restrictive cl.. 2025. 4. 16.
수능 영어 독해를 위한 문법1-2. 관계부사- 장소·시간·이유·방법을 연결하는 또 하나의 다리-포항 영어학원, 중학생 영어 내신부터 고등학생 수능 영어까지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앞에서 관계대명사는 두 문장에서 중복되는 명사를 대신해서 문장을 하나로 연결해준다고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조금 다른 방식으로 문장을 이어주는 친구를 소개할게요.​바로 관계부사입니다. 관계부사도 두 문장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명사를 대신하지 않고 부사처럼 문장 전체에 장소, 시간, 이유, 방법 같은 정보를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I remember the day.We met on that day.1단계: 중복되는 the day를 관계대명사로 연결: 먼저, 'the day'를 which로 바꿔서 연결하면 이렇게 됩니다.I remember the day which we met on.여기서 which는 목적어 자리에 쓰였고, 전치사 on은 문장 끝으로 빠져나와 .. 2025. 4. 16.
수능 영어 독해를 위한 문법1-1. 관계대명사-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하는 마법-포항 영어학원, 중학생 영어 내신부터 고등학생 수능 영어까지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1:1 맞춤 지도 관계대명사는 이름부터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단어 뜻만 잘 이해해도 그 정체가 쉽게 보입니다. ‘관계’는 두 문장 사이의 관계,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해서 쓰는 말입니다.​즉, 관계대명사는 두 문장에서 중복되는 말(대상)을 대신해서, 그 둘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 볼게요.I met a girl.She​ is very good at drawing.이 두 문장을 보면 ‘a girl’과 ‘She’가 같은 사람을 가리키고 있지요.이럴 때 관계대명사를 쓰면, 두 문장을 하나로 자연스럽게 합칠 수 있습니다.I met a girl (who is very good at drawing).여기서 ‘who’는 ‘a girl’을 대신해서 쓰인 말이에요. 동시에 뒤에 오는 문장과 앞 문장을 연결해주는.. 2025. 4.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