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해를 위한 문법

수능 영어 독해를 위한 문법1-3. 계속적 용법이 잘못된 말이라고?(비한정적 용법과 복합관계사)-포항 영어학원, 중학생 영어 내신부터 고등학생 수능 영어까지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by 정쌤영어 2025. 4. 16.
반응형

관계사 단원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오늘은 꼭 알아야 할 두 가지 개념을 정리해볼게요. 바로 비한정적 용법(non-restrictive clause)과 복합관계사(compound relative pronouns)입니다. 이 둘은 수능에서는 다소 덜 중요할 수 있으나, 내신 시험에서도 자주 등장하고, 문장의 구조와 해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비한정적 용법 (non-restrictive clause)

(흔히 ‘계속적 용법’이라고도 불리지만, 정확한 문법 용어는 비한정적 용법입니다.) 관계대명사를 쓸 때, 앞 명사를 제한해서 설명하는 용법을 한정적 용법(restrictive clause)이라고 합니다. 반면, 추가 정보만을 더하는 경우는 비한정적 용법(non-restrictive clause)이라고 하지요. 예문을 비교해보면 의미 차이가 확실히 드러납니다.

Students who study hard will pass the test.

→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만 시험에 합격할 것이다.

(한정적 / 특정 그룹만 지칭)

 

Students, who study hard, will pass the test.

→ 학생들은 시험에 합격할 것이다. (참고로 학생들은 열심히 공부한다.)

(비한정적 / 모든 학생 + 정보 추가)

두 문장의 구조 차이는 단순한 쉼표 하나지만, 의미는 전혀 다릅니다. 그리고 비한정적 용법에서는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Students, that study hard, will pass the test. (X)

Students, who study hard, will pass the test. (O)

내신 시험에서는 쉼표 유무, 관계대명사의 종류(특히 that 사용 여부)가 주요 출제 포인트가 되므로 꼭 구분해 두세요.


2. 복합관계사 (compound relative pronouns)

복합관계사는 whoever, whatever, whichever, wherever, whenever, however처럼 의문사 + -ever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문장 안에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을 모두 만들 수 있는 아주 유용한 표현입니다.

명사절 역할

Whoever wins the game will get a prize.

→ 누가 이기든 상품을 받을 것이다. (주어 역할)

 

You can eat whatever you like.

→ 네가 좋아하는 건 뭐든지 먹어도 돼. (목적어 역할)

부사절 역할

Sit wherever you want.

→ 원하는 어디에서든 앉아도 돼.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절)

형용사절 역할

복합관계사 중 whatever이나 whichever형용사 역할을 하면서 명사를 수식할 수 있어요. 이 경우 문장에서 형용사절로 쓰입니다.

You can choose whichever book you like.

→ 네가 좋아하는 어떤 책이든 골라도 돼.

(‘book’을 수식하는 형용사절)

Take whatever action is necessary.

→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세요.

(‘action’을 수식하는 형용사절)

이처럼 복합관계사는 문장 안에서 굉장히 유연하게 쓰이며, 단순히 관계사의 범위를 넘어서 절을 통째로 구성하는 문법 도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