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영어에서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관계절, 명사절 접속사, 분사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1. 관계절
명사를 수식하는 절로, 수능 수준의 지문에서는 관계절이 길고 복잡하게 구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People (who regularly engage in activities (that require creative thinking)) tend to show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in their jobs."와 같은 문장에서 'who regularly engage in activities that require creative thinking'이 관계절로, 주어인 'People'을 길게 수식하며 문장 구조를 복잡하게 만든다. 관계절을 빨리 찾고 구조를 이해하면 독해가 쉬워집니다.
2. 명사절 접속사
수능 지문에서는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복잡한 절 구조를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Psychologists have found [that [what motivates people to perform difficult tasks] is not always financial rewards but the intrinsic satisfaction they experience.]"와 같은 문장에서 'that' 이하 전체가 목적어로 쓰인 명사절이고, 특히 이 안에서 'what motivates people to perform difficult tasks'라는 또 다른 명사절이 포함된 복합 구조를 이룹니다. 이런 명사절의 중첩 구조를 잘 파악하면 지문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분사
수능 지문에서 특히 빈출되는 형태인데, 명사를 수식하며 간결한 구조를 형성하여 문장을 간단하게 만듭니다.
예컨대, "The theory (suggested by researchers) (studying human behavior)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into decision-making processes."에서 'suggested by researchers'는 과거분사 형태로 '이론'을 수식하며, 'studying human behavior'는 현재분사로 '연구자들'을 다시 수식한다. 이런 형태는 'which was suggested by researchers who study human behavior'에서 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된 축약형이므로 빠르게 파악하고 해석하는 것이 독해 속도 향상에 필수적입니다.